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해도금 vs 무전해도금, 어떤 도금 방식이 더 나을까?

by 쿠쿠쿠리 2025. 5. 17.

전해도금과 무전해도금, 무엇이 다를까요?

도금 방식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도금은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층을 입혀 부식 방지, 전도성 향상, 내마모성 강화 등의 목적을 달성하는 후처리 공정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이 바로 전해도금과 무전해도금입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작동 원리부터 장단점, 적용 대상까지 확연히 다릅니다.

용도에 따라 적절한 도금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두 공정은 각기 다른 조건에서 장점을 발휘하므로, 금속의 형상, 기능, 생산 수량 등에 따라 올바르게 선택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해도금과 무전해도금의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해드립니다.

1. 전해도금(Electroplating)이란?

전기를 이용한 금속 증착

전해도금은 전기장을 활용해 금속 이온을 피도금물(도금할 물체)의 표면에 환원시켜 금속층을 입히는 방식입니다. 도금액 속에서 피도금물은 음극(-), 도금 금속은 양극(+)으로 작용합니다.

  • 대표 금속: 아연, 니켈, 크롬, 구리, 금
  • 장점: 도금속 선택 다양, 도막이 치밀하고 견고함
  • 단점: 형상이 복잡하면 도금 두께가 균일하지 않음

2. 무전해도금(Electroless Plating)이란?

전기 없이 화학 반응으로 도금

무전해도금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환원제를 포함한 화학반응을 통해 금속 이온을 금속 표면에 직접 침착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형상과 관계없이 균일한 도금이 가능합니다.

  • 대표 금속: 니켈-인, 니켈-붕소, 구리
  • 장점: 복잡한 부품도 균일한 도금 가능
  • 단점: 약품 관리 복잡, 원가 높음

3. 전해도금 vs 무전해도금 비교

항목 전해도금 무전해도금
작동 원리 전기 에너지 이용 화학 환원 반응
도금 두께 형상에 따라 두께 편차 발생 두께가 균일함
복잡한 형상 도금 불균일 가능 균일하게 도금 가능
도금 품질 도막이 치밀하고 고경도 약간 부드럽지만 안정적
설비 비용 전원 장비 필요 약품 유지비용 높음
대표 적용 대형 구조물, 자동차 부품 전자부품, 정밀기기

4. 적용 예시

전해도금 적용 제품

  • 자동차 휠, 샤프트, 가전 프레임
  • 도어 하드웨어, 철 구조물
  • 크롬도금 장식 부품

무전해도금 적용 제품

  • PCB 기판, 커넥터, 핀
  • 정밀 반도체 부품
  • 방산·항공 부품 (내식성 중요)

5. 도금 방식 선택 팁

1. 형상이 복잡하다면?

무전해도금이 적합합니다. 전기장의 영향 없이 균일한 도금이 가능하므로, 구멍이 많거나 미세 구조가 있는 제품에 유리합니다.

2.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방식은?

전해도금은 공정 속도가 빠르고, 설비 비용이 낮아 대량 생산 시 단가 절감 효과가 큽니다.

3. 고정밀/고신뢰 부품은?

무전해도금이 추천됩니다. 도금 두께의 균일성과 전기적 특성 유지가 필요한 부품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 무전해도금은 전해도금보다 품질이 더 좋은가요?

품질이 더 우수하다기보다 '균일성'이 뛰어납니다. 전해도금은 고경도, 무전해도금은 정밀성과 신뢰성이 강점입니다.

2. 전해도금과 무전해도금을 함께 사용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일부 제품은 기초 보호층으로 무전해도금을 하고, 외관 강화를 위해 전해도금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3. 도금 두께는 어느 정도로 맞춰야 하나요?

보통 전해도금은 5~25㎛, 무전해도금은 2~15㎛ 정도이며, 사용 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